(C) 2025, jinhyeok Oh, SHOWER and Whistle
(C) 2025, Jinhyeok Oh, SHOWER and Whistle
(C) 2025, Jinhyeok Oh, SHOWER and Whistle
(C) 2025, Jinhyeok Oh, SHOWER and Whistle
(C) 2025, Jinhyeok Oh, SHOWER and Whistle
(C) 2025, Jinhyeok Oh, SHOWER and Whistle
이연석 Yonsok Yi_R2501, 음악이 현악기속에 있지 않듯이, As music is not in the strings,, 2025, oil and acrylic on hand-carved wood panel (7 unit composition), 42.3 x 42.3 x 4.2 cm (1ea) / 35 x 35 x 4.2 cm (1ea) / 28 x 28 x 4.2 cm (2ea) / 21 x 21 x 4.2 cm (3ea), unique
이연석 Yonsok Yi_ R2502 우리는 새들의 발에서 서체를 훔쳤다. We stole the script from the birds., 2025, oil and acrylic on hand-carved wood panel (10 unit composition), 35 x 35 x 4.2 cm (1ea) / 21 x 21 x 4.2 cm (3ea) / 14 x 14 x 2.7 cm (3ea) / 14 x 14 x 4.2 cm (3ea), unique
이연석 Yonsok Yi_R2503 나르는 도둑들 Flying Thieves, 2025, oil and acrylic on hand-carved wood panel (5 unit composition), 21 x 21 x 4.2 cm (3ea) / 14 x 14 x 4.2 cm (2ea), unique
이연석 Yonsok Yi_R2504 나르는 도둑들 Flying Thieves, 2025, oil and acrylic on hand-carved wood panel (6 unit composition), 35 x 35 x 4.2 cm (1ea) / 28 x 28 x 4.2 cm (1ea) / 21 x 21 x 4.2 cm (1ea) / 14 x 14 x 4.2 cm (2ea) / 10 x 10 x 4.5 cm (1ea), unique
이연석 Yonsok Yi_R2505 꿈은 글에서 태어나지 않았고, Dreams were not born of writing,, 2025, oil and acrylic on hand-carved wood panel (4 unit composition)
42.3 x 42.3 x 4.2 cm (1ea) / 28 x 28 x 4.2 cm (2ea) / 14 x 14 x 4.2 cm (1ea), unique
휘슬과 샤워의 공동 기획 부스 In the Living Room은 공유된 공간이 지닌 다층적인 친밀감과 복잡성을 김경태(b. 1983, 서울)와 이연석(b. 1995, 서울)의 작업을 통해 탐색합니다. 휘슬은 김경태의 작업을, 샤워는 이연석의 작업을 각각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는 2024년 12월 3일, 한국에서 단기간 선포된 계엄령과 그것이 사회와 정치, 공적·사적 영역에 미친 영향을 계기로 기획되었습니다. In the Living Room은 거실을 단지 정적인 사적 공간으로 보지 않고, 사회적 긴장이 조용히 사적 영역으로 스며드는 반사적인 장소로 재구성합니다. 주거 공간 안의 공적인 장소인 거실은, 외부인을 초대해 사적 공간을 드러내 보이는 일종의 연극적 무대로 기능합니다.
거실은 물리적으로도 개념적으로도 외부와 내부가 교차하는 공간입니다. 이러한 충돌은 익숙한 거실의 요소들을 부스 안에 통합한 방식에서도 드러납니다.
김경태의 사진 작업은 두 시리즈로 나뉘며, 물의 물리적·시각적 상태를 탐구합니다. 하나의 시리즈에서는 낙수 장치와 수 밀리초만 지속되는 스피드 라이트를 이용해,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찰나의 순간을 포착합니다. 물의 다채로운 형태와 창문, 문과 같은 외부를 향해 열려 있는 요소들을 통해, 중력과 긴장이라는 기본적인 힘을 드러냅니다.
또 다른 시리즈에서는 작가가 수년간 자연환경에서 관찰해 온 다양한 물웅덩이를 세밀하게 기록합니다. 표면의 질감, 떠다니는 입자, 빛의 전달, 때로는 그 안에 서식하는 미세한 생명체들까지 포착한 이 작업은, 마치 거실 속 TV처럼 제시되며, 개인의 인식이 어떻게 미디어와 소셜 플랫폼을 통해 형성되는지 은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사진은 매일 회전되거나 교체되며, 계엄령 이후의 사회적 분열을 반영하고, 작은 시각적 변화가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디어 이미지가 정보의 해석과 수용 방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강조합니다.
반면, 이연석의 작업은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적이거나 장식적인 요소를 모방하며, 회화를 독립적인 조각적 존재로 다룹니다. 그의 회화는 2개에서 10개까지의 모듈로 구성되며, 마치 생활 공간 안의 사물 재배치처럼 구성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표면의 질감과 물질성은 구체적인 내부 공간을 떠올리게 하기보다는, 회화 자체가 하나의 자율적인 물체로 존재함을 강조합니다.
이연석은 목판을 조각하고 반복적으로 칠하고 연마하여 붓질의 흔적을 지우고 감춥니다. 이러한 지우기의 행위는 때로는 회화의 물질적 평면을 소멸의 경계까지 밀어붙이며, 그 표면을 결여와 축적이 공존하는 장소로 만듭니다. 조각, 채색, 연마의 반복적 행위를 통해, 표면은 감춰진 기억의 층으로 변모하고, 이미지의 형상은 흐릿한 반사면 아래로 유예됩니다. 그의 회화는 시대착오적이면서도 거울처럼 반사적인 성질을 띠며, 전통적인 감상의 방식에서 벗어나, 보이는 것보다는 감춰진 것을 통해 사유를 유도합니다. 회화는 더 이상 이미지가 투영되기를 기다리는 수동적 재료가 아니라, 부정의 장소로서 다시 태어납니다.
이번 전시는 정치적 격동 속에서 직접 반응하며 시작된 프로젝트로, 휘슬과 샤워는 앞으로도 사회적 긴장과 분열이 남긴 여파를 탐구해 나갈 예정입니다. 오는 7월에는 두 공간이 함께 “미완성의 방”이라는 개념을 주제로 공동 전시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 전시는 공적 불안과 미해결된 갈등이 정지된 상태로 남아 있는 공간을 상상하며, 그것들이 어떻게 일상적이고 심리적인 차원으로 스며드는지를 다룹니다. “미완성의 방”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조건—집단적 불확실성, 조작된 공포와 같은—이 개인의 일상 속 리듬에 어떻게 파고들거나, 혹은 저항과 성찰의 몸짓으로 전환되는지를 탐색하는 하나의 렌즈가 됩니다.
Whistle and SHOWER’s joint presentation, In the Living Room, explores the layered intimacies and complexities of shared spaces through the works of Kyoungtae Kim (b.1983, Seoul, Korea) presented by Whistle, alongside Yonsok Yi (b.1995, Seoul, Korea) presented by SHOWER.
In the Living Room was conceived in light of the short-lived declaration of martial law in South Korea on December 3, 2024, and the implications this had for Korean society and politics, both public and private. The presentation reimagines the living room not as a static domestic space, but as a site of reflection where the public tensions quietly filter into the private sphere. The living room, a public area within a residential space, acts as a theatrical distillery within the house, making one’s privacy presentable for observation by others invited to the house.
The living room occupies a space of convergence, both physically and conceptually. This conflict between the external and internal worlds is mirrored in the booth’s integration of familiar living room elements.
Divided into two series, Kyoungtae Kim’s photographic works investigate the distinct physical and visual states of water. Using a device that precisely controls the flow of falling water, along with a speed light that emits a flash lasting only a fraction of a millisecond, he captures ephemeral moments that would otherwise be imperceptible to the naked eye. This series portrays the ever-changing, diverse appearances of water and incorporates elements such as windows and doorways that open outward, revealing the underlying forces of gravity and tension within the presentation.
Another series presents an array of pools of water meticulously documented by Kim over several years in natural environments. These works reveal intricate details—from the textures of their surfaces and suspended particles to the transmission of light—and occasionally, the tiny organisms inhabiting these aquatic microcosms. Presented metaphorically as a television in a living room, the images reflect how media and social platforms shape individual perception. The photograph is rotated and replaced daily, echoing the societal divide that followed the post-martial law period, and illustrating how even subtle visual shifts can alter our apprehension. This process further underscores how images circulated through media can profoundly influence the way information is perceived and interpreted.
In contrast to Kim’s works, Yonsok Yi’s practice emulates the ornamental and structural elements of an interior space. His paintings are conceived as modular units, ranging from two to ten components, which can be configured much like daily rearrangements of objects in a living space. However, the sculptural presence of his paintings and their richly textured surfaces do not evoke an image of an interior. Instead, they emphasize the painting as a self-contained object, engaging with the ongoing discourse around the material and conceptual limits of modern painting.
The artist carves into wooden panels and repeatedly paints and polishes them to eliminate and obscure any visible traces of brushstrokes. This relentless act of erasure sometimes pushes the surface to the brink of disappearance, where the material plane itself begins to collapse, becoming a site of both absence and accumulation. In the process of carving, painting and polishing, the painting’s surface becomes a stratum of concealed memory—its imagery deferred beneath a blurred, reflective texture. Adopting both an anachronistic and almost mirror-like quality, his paintings move away from traditional modes of viewing, prompted by not what is actively visible, but by that which is seemingly withheld. Painting reframes itself not as passive material awaiting the inscription of an image, but as an active site of negation.
Building on this presentation, which is a direct response to the then-unfolding political climate, Whistle and SHOWER continue to investigate the enduring effects of social tension and division. In July, the two spaces will co-host an exhibition framed by the concept of an “unfinished room,” the exhibition imagines a space where public anxieties and unresolved conflicts remain suspended, gradually seeping into the domestic and psychological realms. This metaphor serves as a lens to explore how externally imposed conditions, such as collective uncertainty or manufactured fear, embed themselves in the rhythms of daily life, or alternatively, give rise to gestures of reflection and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