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Exhibition view
닫힌 문은 방을 외부로부터 단절된 고립의 장소처럼 인식하게 만들지만, 메를로퐁티에 따르면 공간은 단순히 비어있는 수용체가 아니라, 지각과 감각이 살아 움직이는 관계의 장이다. 다시 말해, 공간은 고정된 배경이나 중립적인 무대가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며 형성하는 경험의 방식에 따라 구성되는 지각의 구조이자 의미가 생성되는 장소이다. 휘슬과 샤워의 공동 기획전 <Rooms of Convergence> 전은 지속되는 사회적 긴장과 분열이 개인의 일상과 사적영역에 어떤 식으로 스며드는지를 반영하며, 지난 5월 김경태, 이연석 작가와 Liste (Basel, 2025) 에서 선보인 협업 프로젝트 <In the Living Room>의 연장선상에서 출발하였다. 여기서 ‘방’은 단순한 물리적 주거 공간이 아닌 외부의 파장이 내면에 가닿는 접촉면이자, 개인과 사회, 현실과 상상 사이의 경계가 유동적으로 교차하는 은유적 장치로 기능한다.
dpgp78(김지환,민성식), 기예림, 김경태, 김태윤, 매그너스 패터슨 홀너, 서제만, 유키 그레이, 이연석, 이주경, 조이솝, 총 11명의 작가가 참여하고, 두 개의 전시 공간에서 동시에 전개되는 이번 전시는 수렴과 충돌, 고립과 개입이 공존하는 다성적공간으로서의 ‘방’을 구현한다. 휘슬의 공간은 다수의 방들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파동처럼 감각과 경험이 분절되면서도 교차하는 다층적 서사를 형성한다. 이곳은 단절과 연결이 모호하게 얽힌 미로처럼, 감각의 파편들이 중첩되고 확장되는 지점이 된다. 반면, 샤워는 하나의 넓은 장 속에서 개별의 경험과 기억들이 자유롭게 흐르고 포개지며, 유동적인 관계망을 생성하는 열린 구조를 지닌다. 이처럼 상반된 두 공간의 구조적 특성은, 전시가 제안하는 ‘방, 고정된 형식이 아닌, 유예된 상태 속에서 관계 맺고 끊임없이 재편되는 ‘과정으로서의공간’의 개념을 사유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One may perceive a room with a closed door as an isolated space, disconnected from the outer world. However, according to Maurice Merleau-Ponty, space is not simply an empty receptor but a dynamic, living site of perception and sensation. Rather than serving as a static backdrop or neutral stage, space becomes a perceptual structure and a site of meaning-making, shaped by lived experience.
Whistle and SHOWER’s co-curated exhibition, Rooms of Convergence, reflects on how ongoing social tensions and divisions permeate individual lives and private spaces. This exhibition expands upon their collaborative project In the Living Room at Liste (Basel, 2025) which featured works by Kyoungtae Kim and Yonsok Yi. Here, the “room” functions not as a mere physical dwelling, but as a point of contact where external reverberations reach the inner self, and as a metaphorical device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and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fluidly intersect.
The exhibition takes place simultaneously across two gallery spaces, featuring eleven artists: dpgp78 (kimjihwan & minsungshig), Yelim Ki, Kyoungtae Kim, Taeyoon Kim, Magnus Peterson Horner, Jeman Seo, Yuki Gray, Yonsok Yi, Jookyung Lee, and Leesop Cho. It presents the “room” as a polyphonic space where convergence and collision, isolation and intervention coexist. Whistle’s space consists of multiple rooms, creating a layered narrative in which sensations and experiences are segmented yet intersect, like interlacing waves. It becomes a maze-like site where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ambiguously intertwine, and fragments of perception overlap and expand. By contrast, Shower offers a single, expansive field where individual experiences and memories flow, overlap, and generate fluid relational networks within an open spatial structure.
The contrasting structural qualities and spatial dynamics of these two sites serve as a framework for examining the exhibition’s proposition of the “room”, not as a fixed form, but a space-in-process existing in suspension, forging relationships and undergoing constant reconfiguration.